쿠버네티스 자격증 CKA(Certified Kubernetes Administrator) 합격 후기 및 공부 방법 총정리

악귀방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image 145

최근 클라우드 네이티브(Cloud Native) 환경의 핵심으로 자리 잡은 쿠버네티스(Kubernetes)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습니다. 데브옵스(DevOps) 엔지니어, 클라우드 아키텍트, 혹은 백엔드 개발자라면 쿠버네티스 역량을 증명하는 것이 커리어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죠. 이러한 흐름 속에서 많은 분들이 쿠버네티스 자격증 CKA(Certified Kubernetes Administrator) 취득에 관심을 보이고 있습니다. 저 또한 최근 CKA 시험에 응시하여 합격의 기쁨을 누렸고, 그 과정에서 겪었던 경험과 공부 노하우를 공유하고자 이 글을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본 포스팅에서는 제가 CKA를 준비하며 활용했던 학습 자료, 실전과 같은 시험 환경에서의 꿀팁, 그리고 실제 시험에서 마주칠 수 있는 문제 유형까지, CKA 합격을 위한 모든 것을 상세하게 풀어내겠습니다. 쿠버네티스 자격증 취득을 목표로 하시는 분들께 실질적인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 쿠버네티스 자격증, 왜 CKA를 선택했나?

리눅스 재단(Linux Foundation)과 CNCF(Cloud Native Computing Foundation)에서 주관하는 쿠버네티스 자격증은 크게 세 가지로 나뉩니다.

  • CKAD (Certified Kubernetes Application Developer): 애플리케이션을 쿠버네티스 클러스터에 배포하고 관리하는 개발자 역량에 초점.
  • CKA (Certified Kubernetes Administrator): 쿠버네티스 클러스터의 설치, 구성, 관리, 트러블슈팅 등 관리자 역량에 초점.
  • CKS (Certified Kubernetes Security Specialist): 쿠버네티스 클러스터의 보안 강화 및 모니터링에 특화된 전문가 역량에 초점.

제가 쿠버네티스 자격증 CKA를 선택한 이유는 클러스터의 전체적인 생명주기(Lifecycle)를 깊이 있게 이해하고 싶었기 때문입니다. 단순히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하는 것을 넘어, 클러스터가 어떤 원리로 동작하고, 문제가 발생했을 때 어떻게 근본 원인을 찾아 해결하는지에 대한 관리자 관점의 역량을 갖추는 것이 장기적인 커리어에 더 중요하다고 판단했습니다. CKA는 쿠버네티스 클러스터의 A to Z를 다루기 때문에 시스템 전반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 데 최고의 선택이었습니다.

📚 CKA 자격증 시험 준비 과정 A to Z

CKA 시험은 100% 실습 기반으로 진행됩니다. 주어진 시간 안에 터미널 환경에서 kubectl 명령어를 사용하여 문제를 해결해야 하죠. 따라서 이론 공부만큼이나 손에 익을 때까지 반복하는 실습이 절대적으로 중요합니다.

추천 강의 Udemy Certified Kubernetes Administrator (CKA) with Practice Tests

CKA를 준비하는 전 세계 모든 사람들이 입을 모아 추천하는 강의가 있습니다. 바로 Mumshad Mannambeth의 Udemy CKA 강의입니다. 이 강의를 추천하는 이유는 명확합니다.

  1. 탄탄한 이론 설명: 복잡한 쿠버네티스 개념을 초보자도 이해하기 쉽게 시각 자료와 함께 설명해 줍니다.
  2. KodeKloud 실습 환경: 각 챕터가 끝날 때마다 웹 기반의 터미널 실습 환경(KodeKloud)을 제공하여 배운 내용을 즉시 적용해볼 수 있습니다. 이 실습 환경을 얼마나 잘 활용하느냐가 합격의 관건입니다.
  3. 모의고사(Mock Exams) 및 최종 테스트(Lightning Labs): 실제 시험과 매우 유사한 환경의 모의고사를 제공하여 시간 관리 능력을 기르고 취약점을 파악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경험 기반 팁: 강의를 한 번 듣고 끝내는 것이 아니라, 제공되는 모든 실습과 모의고사를 최소 3번 이상 반복하여 어떤 문제가 나와도 손이 먼저 반응할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이 중요합니다.

공식 문서(Official Documentation) 활용법

CKA 시험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는 오픈북(Open Book)이라는 점입니다. 시험 중 kubernetes.io 공식 문서와 블로그, GitHub 리포지토리를 자유롭게 참고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2시간이라는 제한된 시간 안에 문서를 검색하며 문제를 푸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합니다.

따라서 문서는 ‘답을 찾는 곳’이 아니라 ‘YAML 파일 템플릿을 빠르게 복사하는 곳’으로 활용해야 합니다.

  • 평소에 문서와 친해지기: 공부하면서 필요한 내용이 있을 때마다 공식 문서를 찾아보는 습관을 들이세요. 어떤 키워드로 검색해야 원하는 정보가 나오는지 미리 파악해두어야 합니다.
  • 시험 전 북마크 활용: 시험 환경에서는 미리 설정해 둔 브라우저 북마크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kubectl Cheat Sheet, PersistentVolume, NetworkPolicy, kubeadm 관련 페이지 등 자주 사용할 만한 페이지들을 미리 북마크해두면 시간을 크게 절약할 수 있습니다.

Killer.sh 실전 모의고사

CKA 시험을 결제하면 Killer.sh라는 공식 모의고사 환경을 2회 이용할 수 있는 세션이 제공됩니다. Killer.sh는 실제 시험보다 훨씬 어렵게 설계되어 있어 수험생들에게 좌절감을 안겨주기로 유명합니다.

  • 첫 번째 세션: 본격적인 공부를 시작하기 전이나 중간 점검용으로 사용하여 자신의 현재 실력과 시험 환경을 파악하는 데 사용하세요. 점수에 연연하지 말고, 어떤 유형의 문제가 나오는지 파악하는 데 집중합니다.
  • 두 번째 세션: 실제 시험 2~3일 전에 사용하여 최종 리허설을 진행합니다. 시간 관리 전략을 점검하고, 시험 환경에 대한 긴장감을 익숙함으로 바꾸는 과정입니다.

Killer.sh의 진정한 가치는 시험이 끝난 후 제공되는 상세한 풀이에 있습니다. 내가 풀었던 방식과 모범 답안을 비교하며 더 효율적인 방법을 익히는 것이 핵심입니다.

💻 실전! CKA 시험 환경 및 핵심 팁

시험 당일, 최고의 효율을 내기 위한 몇 가지 필수 설정과 전략이 있습니다. 이 팁들은 단순히 시간을 아끼는 것을 넘어 합격과 불합격을 가를 수도 있습니다.

시간 관리와 문제 풀이 전략

CKA 시험은 2시간 동안 약 15~20개의 문제를 풀어야 합니다. 문제당 평균 6~8분의 시간이 주어지는 셈이죠. 따라서 속도가 생명입니다.

  • Tip 1: kubectl 자동 완성 및 Alias 설정 (필수!)
    시험이 시작되자마자 가장 먼저 이 설정부터 해야 합니다. 모든 문제 풀이의 기본입니다. # kubectl 자동완성 활성화 source <(kubectl completion bash) echo "source <(kubectl completion bash)" >> ~/.bashrc # alias 설정으로 타이핑 시간 단축 alias k=kubectl echo "alias k=kubectl" >> ~/.bashrc
  • Tip 2: Imperative Commands (명령형 커맨드) 활용 극대화
    모든 리소스를 YAML 파일로 처음부터 작성하는 것은 매우 비효율적입니다. run, create, expose와 같은 명령형 커맨드를 사용하여 리소스의 기본 골격을 만들고, 필요한 부분만 수정하는 전략을 사용해야 합니다. # Pod 생성 기본 YAML 생성 k run nginx --image=nginx --dry-run=client -o yaml > pod.yaml # Deployment 생성 기본 YAML 생성 k create deployment web-server --image=nginx --replicas=2 --dry-run=client -o yaml > deploy.yaml # Service 노출 기본 YAML 생성 k expose deployment web-server --port=80 --target-port=80 --type=NodePort --dry-run=client -o yaml > service.yaml--dry-run=client -o yaml 플래그는 CKA 시험의 알파이자 오메가입니다.
  • Tip 3: kubectl config use-context 확인
    각 문제마다 작업해야 하는 클러스터 환경이 다릅니다. 문제 상단에 제시된 kubectl config use-context [context_name] 명령어를 반드시 먼저 실행하여 올바른 클러스터에서 작업하고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이걸 놓치면 문제를 다 풀어도 0점 처리됩니다.
  • Tip 4: 모르는 문제는 과감히 패스
    문제마다 배점이 다릅니다. 배점은 낮지만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에 매달리기보다는, 배점이 높은 문제나 빨리 풀 수 있는 문제부터 공략하는 것이 현명합니다. 시험 시스템에는 ‘플래그(Flag)’ 기능이 있으니, 어려운 문제는 플래그를 표시하고 나중에 다시 돌아와서 푸세요.

🎯 제가 경험한 CKA 시험 문제 유형 분석

NDA(비밀유지협약)에 따라 정확한 문제를 공유할 수는 없지만, CKA가 측정하고자 하는 핵심 역량은 정해져 있습니다. 주로 다음과 같은 카테고리의 문제들이 출제되었습니다.

  • 클러스터 유지보수 (Cluster Maintenance)
    • etcd 백업 및 복원: 시험에서 가장 배점이 높은 단골 문제입니다. etcdctl snapshot saveetcdctl snapshot restore 명령어 사용법을 반드시 숙지해야 합니다.
    • 클러스터 업그레이드: kubeadm을 이용해 특정 버전으로 클러스터를 안전하게 업그레이드하는 과정(Control Plane 노드, Worker 노드 순)을 묻는 문제가 자주 출제됩니다.
  • 애플리케이션 생명주기 관리 (Application Lifecycle Management)
    • Pod, Deployment, Service, DaemonSet 등 핵심 워크로드를 생성하고 요구사항에 맞게 수정하는 문제가 다수 출제됩니다.
    • Sidecar 컨테이너를 Pod에 추가하는 문제도 단골 유형입니다.
  • 스토리지 (Storage)
    • PersistentVolume(PV)과 PersistentVolumeClaim(PVC)을 생성하고, 이를 Pod에 연결하여 데이터를 영속적으로 저장하는 능력을 검증합니다.
  • 트러블슈팅 (Troubleshooting)
    • ‘X 노드가 NotReady 상태인데 원인을 파악하고 해결하라’ 또는 ‘Y Pod가 실행되지 않는데 로그를 확인하고 문제를 해결하라’와 같은 유형입니다.
    • kubectl logs, kubectl describe, journalctl -u kubelet 등의 명령어를 활용하여 원인을 분석하고 해결하는 능력이 필요합니다.
  • 네트워킹 (Networking)
    • NetworkPolicy를 생성하여 특정 Pod 간의 통신(Ingress/Egress)을 제어하는 규칙을 만드는 문제가 출제됩니다.

✨ 최종 합격 그리고 그 이후

시험을 마치고 약 24시간 뒤, “Congratulations!”로 시작하는 이메일을 받았을 때의 성취감은 정말 컸습니다. 쿠버네티스 자격증 CKA는 단순히 이력서에 한 줄 추가하는 것 이상의 의미를 가집니다. 클러스터를 직접 관리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얻은 자신감과 깊은 이해는 현업에서 마주하는 어떤 문제에도 체계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튼튼한 기반이 되어주었습니다.

만약 쿠버네티스 전문가로 성장하고 싶다면, CKA 자격증은 그 여정의 훌륭한 첫걸음이 될 것입니다. 이 글을 읽는 모든 분들이 체계적으로 준비하여 좋은 결과를 얻으시기를 진심으로 응원합니다.

관련 글 🔮

자격증 취득 장려금 2025년 신청 방법, 지자체 및 국비지원 총정리

생활지원사 2025년 자격증 취득 방법과 현실 급여 전망 총정리

토스 페이스페이 취소 방법 완벽 가이드 (앱, 매장, 고객센터)

햇살론 유스 총정리 대학생 무직자 조건 신청 방법 및 후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